맨위로가기

환조 (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환조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로, 고려 말 원나라의 천호(千戶)를 세습받았다. 공민왕의 반원 정책에 호응하여 고려에 투항, 쌍성총관부 수복에 기여하여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로 임명되었으나, 1361년 영흥에서 사망했다. 사후 문하시중에 증직되었고, 조선 건국 후 태조에 의해 환왕으로 추존되었으며, 태종 때 환조 연무성환대왕으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신화의 인물 - 의혜왕후
    의혜왕후 최씨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머니이며, 이자춘과의 혼인을 결정하고 삼한국대부인, 의비, 의혜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능은 화릉이고 이성계와 정화공주를 낳았다.
  • 조선 신화의 인물 - 도조 (조선)
    도조 이춘은 조선의 추존왕으로, 이행리의 천호 관직을 계승하고 경순왕후 박씨와의 혼인으로 이자흥과 환조 이자춘을 낳았으며, 태조 이성계에 의해 도왕으로 추존, 태종 때 도조로 묘호가 정해졌다.
  • 쌍성총관부 - 익조
    익조는 조선의 추존 왕으로, 본명은 이행리이며, 원나라의 다루가치와 일본 원정에 참여했고, 여진족과의 갈등으로 의주로 이주하여 쌍성총관부의 다루가치를 지냈다.
  • 쌍성총관부 - 목조
    목조는 고려 말 전주 이씨 가문 출신으로, 관아 기생 문제로 삼척과 의주로 이주, 의주 병마사를 지냈으며, 몽골에 투항 후 알동 천호 다루가치를 지낸 이성계의 고조부이다.
  • 1360년 사망 -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가, 천문학자, 신학자, 철학자로, 1204년부터 1359년까지의 역사를 다룬 《로마 역사》를 저술하고, 헤시카즘 논쟁에서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교리에 반대했으며, 천문학, 철학, 수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을 남겼다.
  • 1360년 사망 - 서수휘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 지도자 서수휘는 백련교를 숭봉하며 호북성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켜 천완이라는 나라를 세우고 황제를 자처했으나, 진우량에게 살해당했다.
환조 (조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자춘
본관전주 이
출생1315년 1월 20일
출생지원나라 쌍성총관부 알동
사망1361년 6월 3일
사망지고려 동북면 함흥 귀주동
묘소정릉
묘소 위치함경남도 함주군 동천면 경흥리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가족 관계
이춘
경순왕후 박씨 (문주 박씨)
배우자의혜왕후 최씨
자녀5남 1녀
아들완풍대군
영성대군
태조
의안대군
정윤
정화공주
▨▨공주
관직 및 지위
작위다루가치
추존환조
시호연무성환대왕 (淵武聖桓大王)
묘호환조 (桓祖)
추존왕조선 추존왕

2. 생애

이자춘은 아버지 이춘과 형 이자흥이 사망한 후, 어린 조카 이교주를 대신하여 원나라의 천호(千戶)를 세습받았다.[11] 원나라의 후원을 받는 이복동생의 외척인 조씨 가문과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천호 직위를 유지하였으나, 원나라의 정책 변화로 점차 원나라에 대한 회의를 느끼게 되었다.

고려 공민왕쌍성총관부를 공격할 때, 이자춘은 이에 호응하여 1355년 고려에 투항하고 소부윤(少府尹)에 제수되었다.[7] 1356년 유인우와 함께 동북면을 협공하여 쌍성총관부를 수복하고, 99년 만에 동북 영토를 회복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 공으로 대중대부사복경(大中大夫司僕卿)에 오르고 개경에 거주하게 되었다.

1년 후 동북면으로 돌아가려 했으나, 조정 대신들은 그의 토착 기반을 이용한 배반을 우려하여 반대하였다. 그러나 공민왕은 그가 아니면 동북면을 안정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여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하였다. 3년 뒤인 1360년 모든 관직을 사퇴하고 이듬해 1361년 함경남도 영흥에서 사망하였다.

사망 날짜에 대해 《이자춘 신도비명》, 《정릉 신도비명(1393)》, 《동문선》은 1360년 4월 18일, 《태조실록》 총서와 《고려사》는 1361년 4월 30일에 사망했다고 기록하여 차이를 보인다.

지내굉은 이자춘이 공민왕에게 직접 국왕을 알현하고 교지를 하사받았다는 것은 의심스럽고, 특별한 대우를 받으면서도 고위직에 등용되지 않은 채 변방 유이된 토민의 수장으로 임명된 것은 더욱 이상하다며, 공민왕 4년과 5년 3월의 환조의 입조 기록은 창작이며 믿을 가치가 없다고 비판했다.[5] 다만, 이자춘이 실존 인물이라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6]

로쿠탄다 유타카는 이자춘이 쌍성 등의 천호로서 원나라에 봉사했지만, 1355년에 고려에 내응하여 소부윤에 임명되었고, 다음 해 고려가 행한 쌍성총관부 공격 시 고려왕의 명령을 받아 이를 공격하여 전공을 세워 함경도 만호·병마사로 임명되었다는 것은 "전설"이라고 언급하며,[7] "이러한 전설은 『고려사』·『태조실록』·『용비어천가』 등에 나타나지만, 어디까지가 사(史)실을 반영한 것인지는 의문이다"라고 말했다.[8]

3. 가계

환조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이춘
할아버지이행리
할머니등주 최씨 정숙왕후
어머니문주 박씨 경순왕후
외할아버지박광



환조는 여러 부인을 두었다.

정실영흥 최씨 의혜왕후
측실한산 이씨
측실정안옹주
측실이름 미상의 여성


3. 1. 부모


:* 외할아버지: 안변부원군 박광

3. 2. 배우자

정실영흥 최씨 의혜왕후 (1304년 ~ ?)
자녀
측실한산 이씨 (1319년 ~ 1334년)
자녀
측실정안옹주 정빈 김씨 (? ~ 1404년)
자녀이화, 의안대군 (1348년 ~ 1408년)


3. 3. 자녀

군호 / 작호이름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완풍대군
完豊大君
완산군
完山君
원계
元桂
1330년 - 1388년▨▨왕후 이씨삼한국대부인 김씨
삼한국대부인 김씨
삼한국대부인 문씨[15]
2영성대군
永城大君
완성군
完城君
천계
天桂
미상 - 1392년▨▨왕후 이씨미상부부인 박씨
3태조대왕
太祖大王
태조 고황제
太祖 高皇帝
성계
成桂

1335년 - 1408년의혜왕후 최씨신의왕후 한씨
신덕왕후 강씨
조선의 초대 국왕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4의안대군
義安大君
의안군
宜安君

1348년 - 1408년[16]정빈 김씨삼한국대부인 안씨
삼한국대부인 노씨
5정윤
正尹

미상 - 1394년[17]미상미상
colspan="7" |
작호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공주[18]미상▨▨왕후 이씨강우
2정화공주
貞和公主
진화택주
眞和宅主
미상의혜왕후 최씨용원부원군 조인벽


4. 평가

이자춘은 고려 말 혼란스러운 정세 속에서 가문의 기반을 다진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는 원나라의 천호(千戶)를 세습받아 재직하였고,[11] 원나라의 후원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하지만, 원나라의 정책에 회의를 느끼고, 1355년 고려에 투항하여 소부윤(少府尹)에 제수되었다.[7]

고려 공민왕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할 때, 이자춘은 부원세력이었던 조씨와 이씨에게 조상의 죄를 씻으라 하여 이에 동조하여 왕의 신임을 얻었다. 공민왕은 반원(反元) 정책을 추진하며 친원사대파(親元事大派)인 기씨(奇氏) 세력을 제거하려 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자춘을 끌어들였다. 이자춘은 유인우(柳仁雨)와 함께 동북면을 협공하여 이 지역을 점령하고, 99년 만에 동북 영토를 회수하는 데 공을 세웠다. 이를 통해 그는 오랫동안 대립했던 친원 세력인 조소생을 제거하였다.

이후 대중대부사복경(大中大夫司僕卿)이 되어 저택을 하사받고 개경에 머물렀다. 1년 후 동북면으로 돌아가려 할 때, 대신들은 그가 토착기반을 이용하여 배반할 것을 우려하여 반대하였으나, 공민왕은 그가 아니면 동북면을 안정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여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하였다. 그는 1360년 또는 1361년에 사망하였다.

이자춘의 생애에 대한 묘사는 서로 모순되는 경향이 있다.[5][6][7][8] 그는 학관 벼슬에 올랐다고 전해지지만, 그가 사망했을 때 왕은 이자춘에 대해 마치 학관에 대한 것처럼 애도를 표했는데, 이는 이자춘이 학관이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사후, 왕으로 즉위한 이성계에 의해 환왕, 손자인 3대 국왕 태종에 의해 '''환조·연무성환대왕'''으로 추존되었다. 능묘는 함경남도 함흥시에 있는 정릉으로, 의혜왕후와 함께 잠들어 있다.

5. 기타

환조는 여러 드라마에서 다뤄졌다. 1983년 KBS1 드라마 《개국》에서는 박경득이, 2005년~2006년 MBC 드라마 《신돈》에서는 전병옥이, 2012년 SBS 드라마 《신의》에서는 정동규가, 2015년~2016년 SBS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이순재가 환조 역을 맡았다.

5. 1. 등장 작품

참조

[1] 백과사전 斗山世界大百科事典
[2] 문서 rootsinfo
[3] 서적 국朝紀年
[4] 서적 동国輿地勝覧
[5] 서적 李朝の四祖の伝説とその構成 中央公論美術出版 1972
[6] 서적 李朝の四祖の伝説とその構成 中央公論美術出版 1972
[7] 문서 1986
[8] 문서 1986
[9] 서적 이자춘 신도비명
[10] 서적 태조실록
[11] 서적 한국사 100 장면 가람기획 1998
[12] 서적 이자춘 신도비명
[13] 서적 태조실록
[14] 서적 태조실록 1393-09-18
[15] 문서 문익점의 딸
[16] 서적 태종실록 1408-10-06
[17] 서적 태조실록 1394-04-28
[18] 서적 태조실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